(주)바스젠바이오는 유전체데이터를 기반으로
인류의 건강한 수명을 늘리는데 전력을 다하겠습니다.
저희 바스젠바이오는 국내 민간기업 최초 최대 규모인 한국인 15.6만명 기반의 바이오 코호트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을 기반으로 예방 및 정밀 의학 서비스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R&D를 통해 발굴 된 바스젠바이오만의 바이오마커 TLBM과 Drug discovery 플랫폼 DEEPCT를 활용하여 인공지능 기반 바이오 빅데이터 서비스를 의료기관 그리고 제약·바이오기업에 제공하고 있습니다.
수 많은 의료데이터 분석 경험과 탁월한 AI 개발 능력을 바탕으로, 데이터로 부터 시작하고 데이터로 맺음짓는 바스젠바이오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 [국가과제] AI융합 의료영상 진료판독 시스템 사업 참여
- [특허등록] 질환 연관 유전자 변이 분석을 통한 질환별 위험 유전자 변이 정보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 [기술보증기금] 벤처기업 인증 갱신
- [특허등록] 다유전자 위험점수를 이용한 시간 의존 연관성 기반의 질환 발병 정보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 [국가과제] 2022년 AI 바우처 지원사업 참여
- [특허등록] 시간 변동 공변량 기반의 PRS 모델을 이용한 질환별 위험 유전자 변이 정보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 [국가과제] AI융합 의료영상 진료판독 시스템 사업 참여(발의골절)
- [특허등록] 시간 변동성 기반의 질환 연관성 요인 분석을 통한 질환 발병 정보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 [젠큐릭스] 위암 바이오마커 기술이전 계약 체결
- [특허등록] 약물 효과 예측 SNP 기반의 유전자 점수를 이용한 약물 임상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 암젠 코리아 X 보건복지부 '피칭데이' 2위 수상
- [알리코제약] 유전체 코호트 기반 AI 신약 공동개발 MOU 체결
- 노바티스 X 서울시 '제 3회 헬스엑스챌린지 서울' 1위 수상
- [삼진제약] 인공지능 기반 신약개발 공동연구 MOU 체결
- [특허등록] 복수의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질병 프로파일링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특허등록] 위암 발병의 위험도를 예측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법
- [SCI 논문 등재] A systematic review on papers that study on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that affects coronavirus 2019 severity
- [국가과제] AI융합 의료영상 진료판독 시스템 사업 참여
- 유전체 코호트 데이터 독점계약
- [연세의료원] 기술이전계약 체결
- BASGENBIO(바스젠바이오)로 사명 변경
- [DS자산운용] 60억 원 투자 유치(series A)
- [특허등록] 의료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한 방법
- [특허등록] 흡연 방해 방법
- [특허등록] 유병 확률 예측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 [이화의료원] 유전체 코호트와 EMR기록이 연계된 연구 MOU 체결
- [고대의료원] 인공지능 기반 정밀의료 융복합 플랫폼 연구개발 MOU 체결
- 병역특례기업 선정
- [SCI 논문 등재] Association of the Risk of Osteoarthritis and Hypertension in the Korean Adult Population Aged 40-59 in Pre- and Postmenopausal Women: Using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2-2016 Data. Int J Hypertens. 2021 Feb 23;2021:8065838
- [SCI 논문 등재] Learning Curve for Interlaminar Endoscopic Lumbar Discectomy: A Systematic Review. World Neurosurg. 2021 Jun;150:93-100
-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연구팀과 4차산업기술 기반 흡연 행태 조사앱(Smovey) 개발 사업 수주
- [국가과제] AI융합 의료영상 진료판독 시스템 사업 참여
- [메디먼트] 맞춤형 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한 환자 임상경험관리 MOU 체결
- 나누리 투비코 R&D 센터 개소
- [가천대 길병원] 환자경험평가 모바일 앱 론칭
- [연세대 보건대학원] AI 활용 데이터 분석툴 개발
- [기술보증기금] 벤처기업 인증 획득
- [특허등록] 신경망을 이용한 의료 진단 특허 등록
- [SCI 논문 등재] Effect of Aerobic Physical Activity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Middle Aged Women with Osteoarthritis: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6-2017). Int J Environ Res Public Health. 2020 Jan 14;17(2):527
- [SCI 논문 등재] Association between Relative Handgrip Strength and Osteoporosis in Older Wome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4-2018. Ann Geriatr Med Res. 2020 Dec;24(4):243-251
- [SCI 논문 등재] Learning Curve for Transforaminal Percutaneous Endoscopic Lumbar Discectomy: A Systematic Review. World Neurosurg. 2020 Nov;143:471-479
- [SCI 논문 등재] Analysis of Association of Occupational Physical Activity,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 and Sedentary Lifestyle with Hypertension according to the Adherence with Aerobic Activity in Women Using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6-2017 Data. Int J Hypertens. 2020 Feb 14;2020:8943492
- [국제 논문 등재] Effects of Nutrition on Osteoarthritis in Women over the 50 Years: Using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Data [Global Journal of Health Science; Vol. 12, No. 7; 2020]
하 은 희 M.D., Ph.D.
Medical / Environmental Advisory Board
하은희 교수는 예방의학, 산업의학 전문의와 예방의학 박사학위 취득 후 28년간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재임하면서 환경 역학 및 의학, 환경보건정책에 대한 학문적 관심을 토대로 지속적인 기초연구와 정책연구를 수행하였습니다.
특히, 2015년에는 그동안 연구 역량을 집대성하여 국가 어린이 환경보건 출생코호트 지원센터 구축과 한국형 출생코호트 기틀을 마련하는 등 국내외에서 환경 의학 분야의 최고 전문가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160편이 넘는 논문을 SCI국제 학술지에 출판하였으며, 2009년에는 환경부 환경보전유공 대통령표창, 2018년에는 환경부 국민포장, 2019년 이화 학술상을 수상하였습니다. 현재는 이화여자대학교 26대 의과대학 학장을 맡고 있습니다.
김 희 진 M.D., Ph.D.
Genetic epidemiology / Medical Advisory Board
김희진 교수는 이화여대 의대, 연세대 보건대학원 보건학 석사, 이화여대 대학원 의학박사를 마친 후 가정의학과 전문의로서 을지의대 전임강사를 역임하였고 현재 연세대 보건대학원 역학건강증진학과 건강증진교육 전공 교수로 재직중입니다.
질병관리청 및 한국건강증진개발원 자문위원, 대한금연학회 교육이사, 대한보건협회 총무이사로 활동 중이며, 만성질환 역학, 건강증진 보건교육, 보건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금연, 모자보건 등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석 흥 일 Ph.D.
AI Advisory Board
석흥일 교수는 고려대학교에서 공학박사 학위 취득 후, 미국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Chapel Hill에서 Postdoctoral Research Associate로 연구하였습니다.
현재 고려대학교 인공지능학과(뇌공학과 겸임) 부교수로 재직 중이며, 의료 인공지능 분야의 다양한 연구들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Kakao Faculty Membership(2019)과 대한뇌기능매핑학회 젊은연구자상(2019)을 수상하였으며, (사)한국인공지능학회, 한국뇌공학회, 대한뇌기능매핑학회, IEEE Senior Member, MICCAI Member, AAAI Member 등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정 원 일 Ph.D.
Statistics Advisory Board
정원일 교수는 서울대학교 자연대 이학석사 학위를 취득 후 미국에 있는 North Carolina 대학교 의학 통계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 후 미국 하버드 대학교에서 전임 연구원으로 프로젝트를 수행하였습니다.
이후 숭실대학교 자연대 정보통계보험수리학과 조교수로 의학 통계학, 유전 통계학 등 다양한 연구를 주도하였으며, 한국 통계학회(KSS) 및 한국 유전체 학회(KOGO)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오늘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연구 프로젝트를 담당하며 유전체 기반 통계연구를 주도하고 있습니다.
로고타입의 의미
basgenbio란 bas (Before, After, in Surgery), gen (Genomic), bio (Biology)라는 단어를 결합한 이름입니다.
생물학 데이터를 활용하여 유전정보를 분석 후 질병을 앓기 전부터 관리하여 건강한 수명을 연장시킨다는 바스젠바이오의 신념을 담고 있습니다.
심볼마크의 의미
바스젠바이오의 심볼은 인공지능 기반 유전체 분석을 통해
정밀 예방과 정밀 의료 와 같은 분야에서 의료패러다임을 일으키자는 미래지향적인 목표를표현하고 있습니다.
바스젠바이오의 bas를 십진수 표기와 유전체 염기서열 형식을 결합하여 4차산업혁명의 중심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한 유전체 분석 기술력을 직관적으로 표현하였습니다.
AI, JPG, PNG 다운로드
영문, 숫자, 특수문자를 포함하여 8~20자로 입력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