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이오 빅데이터로 건강 그 이상의 가치를 제안합니다
바스젠바이오는 K-Biobank와 다양한 글로벌 바이오뱅크 데이터에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질병 예방 및 치료제 개발의 혁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핵심인력
경영진

장 일 태 대표이사
Chief executive officer- 의학박사
- 나누리의료재단 이사장
방대한 의료데이터와 혈액 속에 담긴 유전 정보를 통해 질병의 근원을 파악하는 것
바스젠바이오는 인공지능과 바이오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예방의학과 정밀 의료 분야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자 하는 기업입니다. 유전체 데
이터와 의료 데이터를 결합하여 신 의료 시장을 개척하고 인류의 건강수명을 연장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이를 위해 바스젠바이오는 다양한 질병
의 원인과 치료법을 찾기 위해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개발 및 바이오 빅데이터 분석을 끊임없이 진행하고 있습니다. 인공지능과 바이오의학의 융
합으로 인류의 건강과 행복을 증진시키는 세계적인 기업이 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김 호 대표이사
Genetic epidemiology R&D임상 유전체 코호트 데이터를 기반으로 인류의 건강한 삶을 연장 시켜주는 것
저희 바스젠바이오는 바이오마커 발굴을 통해 질병의 발생과 진행을 시간적으로 예측하고, 그에 맞는 예방 및 치료제를 개발하는 데 주력하고 있
습니다. 저희는 유전체 코호트 데이터와 독자적인 기술력을 바탕으로 신미래의학의 가능성을 탐구하고, 질병에 대응하는 능동적이고 창의적인
의료 문화를 선도하고자 합니다.

유 행 석 부사장
Chief Financial Officer투명한 재무관리 그리고 정확한 투자 전략을 세우는 것
바스젠바이오는 데이터 경쟁시대 속에 어느 누구도 쉽게 확보하기 어려운 유전체 코호트 데이터를 확보하였습니다. 이를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
으로 활용하기 위해 해결해 나가야 하는 문제는 아직 많지만 바스젠바이오가 추구해나가는 방향성과 성장 속도에 매우 고무적으로 평가받고 있
습니다.
인류의 '건강한 수명' 연장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할 것을 약속드립니다.

김 정 은 AI약물개발본부 본부장
Head of division, AI Drug Development Division유전체 및 역학 데이터를 분석하여 미래의학의 가능성을 넓히는 것.
바스젠바이오는 in silico 분석 전문으로 인간 유전체와 역학 데이터를 이용하여 의미있는 결과를 도출하는데 노력합니다. 고객사와의 소통과 협
업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발생하는 모든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며 업무를 진행합니다. 신약개발, 약물효과 시뮬레이션, 바이오마커 발굴 등 다
양한 분야에서 최고의 데이터와 기술력을 갖춘 리더로서 미래의학의 가능성을 넓혀가고 있습니다.
자문위원회

하 은 희 M.D., Ph.D.
사외이사 / Medical / Environmental Advisory Board유전체 코호트 데이터를 기반으로 인류의 건강한 삶을 연장 시켜주는 것
하은희 교수는 예방의학, 산업의학 전문의와 예방의학 박사학위 취득 후 28년간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재임하면서 환경 역학 및 의학, 환경보건
정책에 대한 학문적 관심을 토대로 지속적인 기초연구와 정책연구를 수행하였습니다.
특히, 2015년에는 그동안 연구 역량을 집대성하여 국가 어린이 환경보건 출생코호트 지원센터 구축과 한국형 출생코호트 기틀을 마련하는 등
국내외에서 환경 의학 분야의 최고 전문가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160편이 넘는 논문을 SCI국제 학술지에 출판하였으며, 2009년에는 환경부 환경보전유공 대통령표창, 2018년에는 환경부 국민포장,
2019년 이화 학술상을 수상하였습니다. 현재는 이화여자대학교 26대 의과대학 학장을 맡고 있습니다.

정 원 일 Ph.D.
Statistics Advisory Board
정원일 교수는 서울대학교 자연대 이학석사 학위를 취득 후 미국에 있는 North Carolina 대학교 의학 통계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 후 미국 하
버드 대학교에서 전임 연구원으로 프로젝트를 수행하였습니다.
이후 숭실대학교 자연대 정보통계보험수리학과 조교수로 의학 통계학, 유전 통계학 등 다양한 연구를 주도하였으며, 한국 통계학회(KSS) 및 한
국 유전체 학회(KOGO)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오늘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연구 프로젝트를 담당하며 유전체 기반 통계연구를 주도하고 있습니다.